728x90 cpi5 미국 2월 CPI(소비자물가지수) 6.0%, 예상치 부합하며 미국증시 3대 지수 상승 미국 2월 CPI(소비자물가지수) 6.0%, 예상치 부합하며 미국증시 3대 지수 상승어젯밤 한국시각 21:30 미국 소비자물가지수가 발표되었습니다. 나스닥 선물 지수를 실시간으로 보고 있었는데 예상치 부합하자마자 상승, 하락을 반복하더니 약보합정도로 상승하더군요. 시장 전망과 같은 6%가 나왔기에 정규장을 들아가 봐야 어떤 움직임이 나올지 알 것 같았습니다. 다행히 3대 지수 모두 상승으로 마감했습니다. 테슬라, 엔비디아 , 메타가 강한 상승세를 보였고 다른 빅테크들도 1-2% 상승을 하였네요. 2월 CPI 소비자물가지수 결과YoY 기준 2월 CPI : 6.0% (예상치 : 6.0%) 2월 근원 CPI : 5.5% (예상치 : 5.5%) 세부항목으로는 - 음식가격 전월대비 +0.4% - 에너지가격 전월대.. 2023. 3. 15. 미국증시 12월 CPI 6.5% 미국증시 12월 CPI 6.5% 예상치 부합 지난밤 한국시각 22:30 미국증시 빅이벤트 CPI 발표가 있었습니다. YoY 12월 헤드라인 CPI: 6.5% (예상치: 6.5%) 12월 근원 CPI: 5.7% (예상치: 5.7%) MoM 12월 헤드라인 CPI: -0.1% (예상치: -0.1%) 12월 근원 CPI: 0.3% (예상치: 0.3%)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 205K (예상치: 215K) CPI 발표 이후 나스닥 선물 지수의 엄청난 변동성이네요. 정규장 개시 이후 -1% 이상 하락했지만 꾸준히 올라 3대 지수 모두 양전으로 마감하였습니다. https://youtu.be/5U8xNQ4S_2k 유튜브 멘탈이전부다 아직까지 안도하기에도 이르고 5일 연속 상승하는 시장, 그리고 vix지수의 낮은 수치 .. 2023. 1. 13. 미국증시 10월 CPI 발표, 미국주식 폭등 10월 CPI 7.7%, 나스닥 7.3% 상승 미국 증시가 폭등했습니다. 3대 지수가 하루 만에 급반전했네요. 나스닥 지수는 7.35% 상승했습니다. 사실 미국 증시가 계속 빠진 거에 비하면 개인적으로는 앞으로 올라갈 길이 멀다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하루 만에 이렇게 오른 이유는 뭘까요? 다들 아시다시피 어제 CPI 발표가 있었는데 한번 보시죠. 미국의 10월 헤드라인 소비자물가는 7.7%(YoY)로 전월(8.2%) 및 시장 예상치(7.9%)를 하회했고, 근원 소비자물가도 6.3%로 전월(6.6%) 및 시장 예상치(6.5%)를 하회했습니다. 사실 물가지수 발표 전부터 7이라는 숫자가 나와야 증시에는 호재다, 이번에는 7을 볼 수 있다는 대다수 전망이 보여서 이번에도 8 나오면 난리 나겠다고 생각했는데 .. 2022. 11. 11. 미국주식 11월 첫째 주 이슈 정리 FOMC 금리인상 75bp, 4 연속 자이언트 스텝 연준이 예상대로 75bp 금리 인상했으나 연준 의장 파월의 몇 마디에 하락세로 마감했습니다. 이제 내년 기준금리는 5% 넘어가려나요? 벌써 금리 인상 효과가 통장 잔고 압박으로 느껴지네요. 10월 고용지표는 여전히 굿 실업률은 3.5% -> 3.7%, 고용 시장의 악재가 주식 시장에는 호재로 보이는 시기입니다. 빅 테크 감원 본격화 애플, 아마존 채용 중단하고 스트라이프, 트위터, 리프트 등 기업에서 대량 해고가 계속되는 등 기업들도 본격적으로 내년을 대비하는 모습입니다. 중국 제로 코로나 정책 접을까? 시진핑 3 연임 확정 이후 중국 제로 코로나 정책을 해제한다는 소문으로 중국 및 홍콩 지수들이 급등을 하였는데 세계 경제의 공장인 중국이 다시 재가동할.. 2022. 11. 6. 이전 1 2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