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미국, 캐나다·멕시코·중국에 고율 관세 부과 결정했습니다.
내일 월요일 주식 시장의 변동성이 상당하겠네요.
1. 미국, 캐나다·멕시코·중국에 고율 관세 부과 결정
• 트럼프 행정부 보복 관세를 강화
• 불법 마약 유입 및 이민 문제를 이유로 관세 정책 추진
2. 캐나다산 제품에 25% 관세… 에너지 제품은 10%
• 캐나다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 부과
• 최소 기준 면제(800달러 이하) 정책 적용
3. 멕시코산 제품에도 25% 관세… 비관세 조치 예고
• 멕시코와의 무역 갈등 심화
• 보복 관세 이외의 비관세 조치 가능성
4. 중국산 제품 10% 관세… WTO 제소 방침
• 중국 제품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
• 세계무역기구(WTO) 제소 가능성
5. 유럽연합(EU)도 영향권… 반도체·철강·가스 추가 관세 예고
• 반도체, 철강, 석유, 가스 부문 추가 관세 전망
• 석유·가스 관세 적용 시점(2월 18일까지)
<지난 트럼프 1기는 어땠을까요?>
트럼프 1기(2017~2021) 때 시행된 관세 정책은 주로 미·중 무역전쟁과 USMCA(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 체결로 대표되며, 글로벌 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1. 미·중 무역전쟁으로 글로벌 경기 둔화
트럼프 행정부는 2018년부터 중국산 제품에 최대 25% 관세를 부과했고, 중국도 보복 관세로 대응.
• 미국 기업: 원자재 및 부품 비용 상승 → 제조업과 농업 타격
• 중국 경제: 수출 감소, 경제 성장률 둔화(2019년 성장률 6.1%로 하락)
• 세계 경제: 불확실성 증가로 투자 위축, 글로벌 무역량 감소
2. 미국 내 생산업체 비용 상승 → 소비자 물가 상승
관세로 인해 미국 기업들은 철강·알루미늄·전자 부품 비용 상승을 겪었고, 결국 소비자 가격이 상승.
• 애플, 테슬라, GM 등은 중국산 부품 가격 상승으로 생산비 증가
• 농업도 피해: 중국이 미국산 대두(콩) 수입 중단 → 미국 농가 수출 감소
3. USMCA 체결로 북미 무역 재편
트럼프는 NAFTA(북미자유무역협정)를 폐기하고 USMCA(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를 2020년에 체결.
• 자동차 부품의 북미산 비율을 75%로 증가 → 멕시코·캐나다 업체 부담 증가
• 미국 노동자 보호 조항 강화 → 미국 제조업 회귀(리쇼어링) 유도
4. 미국 철강·알루미늄 산업 보호 vs. 글로벌 공급망 불안정
2018년, 트럼프는 캐나다·멕시코·EU산 철강·알루미늄에 고율 관세(25%, 10%)를 부과.
• 미국 철강업체는 단기적으로 보호받았지만, 자동차·건설업계 비용 상승
• EU·캐나다도 보복 관세로 대응, 무역 갈등 심화
5. 주식시장 및 글로벌 투자 심리 악화
무역전쟁과 관세 정책으로 인해 2018~2019년 글로벌 주식시장은 변동성이 커졌어.
• 2018년 4분기 S&P 500 지수 20% 급락
• 기업들의 투자 위축 → 신흥국 경제 성장 둔화
<보호무역 정책의 득과 실>
• 미국 내 일부 제조업 보호(철강, 자동차 등) 효과는 있었지만, 기업 생산 비용 증가, 소비자 물가 상승, 글로벌 무역 둔화로 장기적인 경제 부담이 증가했음.
25년 1분기 주식 시장이 어떻게 흘러갈지 기대됩니다.
성공 투자하세요.
'미국주식&투자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만치료제 기업 주가 하락과 향후 전망 (0) | 2025.01.23 |
---|---|
워런 버핏이 매수한 베리사인 (VeriSign, VRSN) 주식: 왜 주목받을까? (0) | 2025.01.07 |
미국 주식 추천, AI와 빅데이터를 활용 통합 마케팅 플랫폼 제공 기업 제타 글로벌 홀딩스(ZETA) (2) | 2024.12.15 |
버핏지수, 최근에 주목받고 있는 이유 (2) | 2024.11.23 |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 4.5%가 주식 시장에 주는 영향 (10) | 2024.11.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