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미국, 캐나다·멕시코·중국에 고율 관세 부과 결정
미국주식&투자 관련

트럼프 미국, 캐나다·멕시코·중국에 고율 관세 부과 결정

by 허니비머니 2025. 2. 2.
728x90
반응형

트럼프 미국, 캐나다·멕시코·중국에 고율 관세 부과 결정했습니다.
내일 월요일 주식 시장의 변동성이 상당하겠네요.

1. 미국, 캐나다·멕시코·중국에 고율 관세 부과 결정

• 트럼프 행정부 보복 관세를 강화
• 불법 마약 유입 및 이민 문제를 이유로 관세 정책 추진

출처 : ChatGPT

2. 캐나다산 제품에 25% 관세… 에너지 제품은 10%

• 캐나다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 부과
• 최소 기준 면제(800달러 이하) 정책 적용

3. 멕시코산 제품에도 25% 관세… 비관세 조치 예고

• 멕시코와의 무역 갈등 심화
• 보복 관세 이외의 비관세 조치 가능성

4. 중국산 제품 10% 관세… WTO 제소 방침

• 중국 제품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
• 세계무역기구(WTO) 제소 가능성

5. 유럽연합(EU)도 영향권… 반도체·철강·가스 추가 관세 예고

• 반도체, 철강, 석유, 가스 부문 추가 관세 전망
• 석유·가스 관세 적용 시점(2월 18일까지)

<지난 트럼프 1기는 어땠을까요?>


트럼프 1기(2017~2021) 때 시행된 관세 정책은 주로 미·중 무역전쟁과 USMCA(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 체결로 대표되며, 글로벌 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1. 미·중 무역전쟁으로 글로벌 경기 둔화


트럼프 행정부는 2018년부터 중국산 제품에 최대 25% 관세를 부과했고, 중국도 보복 관세로 대응.
• 미국 기업: 원자재 및 부품 비용 상승 → 제조업과 농업 타격
• 중국 경제: 수출 감소, 경제 성장률 둔화(2019년 성장률 6.1%로 하락)
• 세계 경제: 불확실성 증가로 투자 위축, 글로벌 무역량 감소

2. 미국 내 생산업체 비용 상승 → 소비자 물가 상승


관세로 인해 미국 기업들은 철강·알루미늄·전자 부품 비용 상승을 겪었고, 결국 소비자 가격이 상승.
• 애플, 테슬라, GM 등은 중국산 부품 가격 상승으로 생산비 증가
• 농업도 피해: 중국이 미국산 대두(콩) 수입 중단 → 미국 농가 수출 감소

3. USMCA 체결로 북미 무역 재편


트럼프는 NAFTA(북미자유무역협정)를 폐기하고 USMCA(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를 2020년에 체결.
• 자동차 부품의 북미산 비율을 75%로 증가 → 멕시코·캐나다 업체 부담 증가
• 미국 노동자 보호 조항 강화 → 미국 제조업 회귀(리쇼어링) 유도

4. 미국 철강·알루미늄 산업 보호 vs. 글로벌 공급망 불안정


2018년, 트럼프는 캐나다·멕시코·EU산 철강·알루미늄에 고율 관세(25%, 10%)를 부과.
• 미국 철강업체는 단기적으로 보호받았지만, 자동차·건설업계 비용 상승
• EU·캐나다도 보복 관세로 대응, 무역 갈등 심화

5. 주식시장 및 글로벌 투자 심리 악화


무역전쟁과 관세 정책으로 인해 2018~2019년 글로벌 주식시장은 변동성이 커졌어.
2018년 4분기 S&P 500 지수 20% 급락
• 기업들의 투자 위축 → 신흥국 경제 성장 둔화

<보호무역 정책의 득과 실>

• 미국 내 일부 제조업 보호(철강, 자동차 등) 효과는 있었지만, 기업 생산 비용 증가, 소비자 물가 상승, 글로벌 무역 둔화로 장기적인 경제 부담이 증가했음.

25년 1분기 주식 시장이 어떻게 흘러갈지 기대됩니다.

성공 투자하세요.



728x90
반응형

댓글


TOP

Designed by 티스토리